본문 바로가기

독서/심리학, 철학

본래 가족이 더 이기적이다(책, 이제껏 너를 친구라고 생각했는데), 가족 관계와 자녀 교육

728x90
728x90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이 주제의 포스팅이 각자의 가치관, 가족에 따라 생각이 다를걸라 생각됩니다. 세상에서 가장 가까워야할 가족이 시간이 흘러 서로 다르게 보이고 다른 외부 사람들한테 보이지 않는 다툼이 큰 경우도 많지요. 정신의학 선생님이 쓴 책의 내용의 일부 내용을 포스팅으로 옮겼습니다. 이웃님들의 각자 생각과 비교해 보세요.

픽사베이 이미지

 

그들은 가까운 순서대로 이용한다

 

-가족의 뜻대로 자신이 움직이지 않는다고 해서 괜한 죄책감에 빠지지 마라. 가족이라는 타이틀을 내세워 맹목적인 무언가를 요구하는 상황에 대해 되짚어 봐야 한다. 또 자신이 받는 요구가 현실적으로 수용가능한 것이지 고민해보고, 가족 구성원이 왜 내게 압박을 가하는지 그것도 왜 나에게만 향하는지 생각해봐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혈연관계에 놓인 이들에게 자신의 인생을 빼앗기고 말 것이다.

예) "너와 나는 가족이야. 그러니 당연히 해줘야지", "우리는 가족이 잖아", "너는 장남(장녀)니까", "너는 장손이니까", "언니니까, 형이니까, 동생이니까" 등.

 

 

 

가족의 행복은 누군가의 희생을 먹고 자란다.

 

-어른들이 자녀에게 하는 말의 예시

"왜 나만 희생해야 하나?" VS "너만 감당하면 모두가 편해져.", "넌 애가 왜 그렇게 이기적이야? 네가 좀 참으면 되잖아."

(~시간이 흐른 뒤 또는 자녀가 장성한 뒤~)

-"난 희생이라고 말한 적 없다. 네가 자처한 거지. 싫으면 싫다고 그때 말하지 그랬어."

-가족간의 희생이라는 게 그렇다. 그 어떤 관계보다도 외롭다. 철저하게 고립되어 있다. 끝이 보이지 않는다. 마치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와 같다. 왜 이런 아픔을 자처하는가. 그러니 이제는 생각해봐야 한다. 왜 가족이 자신에게만 필요를 얘기하는지, 양보를 강요하는지, 희생을 말하는지를 말이다.

 

 

 

가족이기에 더 필요한 관계의 거리

 

-진정한 관계에서는 정확히 '너'와 '나' 서로 다른 두 사람이 구분된다. 그냥 '가족'이라는 한 묶음으로 취급되어서는 안된다는 말이다. 진정한 의미의 관계는 두 사람 혹은 다수를 한 덩어리로 뭉개지 않는다. 누구의 감정이지, 누구의 일인지, 누가누구인지 분간되지 않는 '하나 됨'은 가짜이기 때문이다. 가족도 마찬가지, 진짜 관계에서는 서로의 모습이 더 선명하고 빛난다.

-가족이라는 이유로 '네 것이 내 것이 아니고, 내 것이 제것이 아니다'라고 하는 무경계에서 벗어나자. 그렇게 되면 아무도 빛을 낼 수 없게 된다.

 

 

 

가족은 끊어지지 않으니 네 뜻대로 살아도 된다.

 

-그동안 거절이 힘들었던 건 단절과 버려짐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다. 하지만 끊어지지도 버려지지도 않는다는 사실을 이해하면 부모와 자식간의 강요는 어쩔 수 없는 그 무엇이 아니라는 결론에 이른다. 

-희망이 있다. 다만 좌절을 견디는 힘이 요구되는데 그 좌절은 관계의 단절이 아니라 부모로부터의 분리이자 독립, 즉 의존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족과의 지나친 밀착 관계에서 벗어나고자 노력하고, 그 과정에서 불협화음을 겪는 것이 결국에는 건강한 관계를 회복하게 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그러니 지금 당신이 거부권을 행사하여 가족에게 실망을 안겼다 해서 좌절하거나 좌책감을 느끼지 말자. 건강한 관계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꼭 필요한 좌절일 수 있으니까 말이다.


중요한 것은 위와 같은 상황을 강요하는 사람이나 강요를 받는 사람이나 그 상황을 알아차리는 게 더 중요해 보입니다. 대부분의 부모나 자녀는 이러한 교육을 받아보지 못했거나, 지식을 쌓을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기 때문에 시간이 흐르고 자녀가 장성한 뒤에 가족 안에서 문제가 됩니다. 특히 가부장적이고 유교적 관습이 많은 우리나라가 서양 문화보다도 심한 이유가 이렇지 않나 생각됩니다. 더구나 부모 의존적인 자녀가 어릴 때는 '애 늙은이', '엄친 딸, 엄친아' 라고 불리면 자랐다면 더욱 상황이 심각해질 수 있습니다. 아이는 자신의 자아를 키우거나 정체성을 키우는 게 아니라, 부모의 정체성 안에서 부모가 원하는 사람으로 성장 해 간 후, 막상 사회 생활을 할 때는 자기 정체성을 찾지 못해 더욱 사회 생활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자녀들이 그 상황을 인식했을 때는 어릴때의 말 잘 듣는 엄친아, 엄친아는 나중에 부모에게 빚이 되어 돌아옵니다.

특히 가족 안에서 지배적 위치에 있는 부모는 자신이 이기적으로 행동한다고 생각하지 못합니다. 설사 한다고 하더라도 "다른 사람도 다 그래" 라며 자기 합리화를 하거나 정당화를 시킵니다. 

 

얼마 전에 읽은 책 <완벽한 아이>에서도 보았듯이, 세상에는 완벽한 아이나 존재는 만들어질 수도 키워질 수도 없을 것입니다. 다만 부모가 자신보다 더욱 나은 환경에서 세상을 살아가기 위한 생각을 한다면 자신보다 더 넓은 세계관을 가질 수 있는 존재로 양육 하는 게 맞다고 생각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다면 직접 책을 읽어 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책과 함께 건강한 가을 되세요.^^

728x90